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K패스 기후동행카드 장단점 비교

잡다한

by 반가방가 2025. 2. 4. 16:47

본문

반응형

현재 K 패스를 사용하고 있지만 15회를 못 채우는 달도 많이 있다 
생활 패턴이 이번에 바뀌어서 마음만 먹으면 기후동행카드도 사용할 수 있을테니 라는 생각이 들어 한번 비교해보기로 했다 
먼저 K패스와 기후동행카드에 대해서 살펴보고 그 후에 비교를 해보도록 하겠다 

 

K패스

K패스의 지급 기준은 
월 15회 이상 대중교통이용시 최대 60회까지 지급 

 

 

적립률 
일반 20% 적립 
청년 30% 적립 (만 19세 ~ 34세)
저소득 53% 적립 

 

 

사용가능 지역 
지도에 표시된 곳은 다 사용가능 

 

그런데 K패스에 변동사항이 생겼다 
25년 1월1일부터 1일 최대 2회까지만 적립 
2회 초과 이용시 이용금액이 높은 순서대로 2회 적립 
이용 횟수는 카운트 된다 

 

 

다자녀 혜택도 생겼다 
자녀가 2명이면 30%, 3명이면 50% 적립 
단 미성년 자녀가 1명이상 포함된 부모만 해당 

 

반응형

기후동행카드 

기후동행카드는 선불과 후불이 있다 

 

 

선불에는 모바일 기후동행카드와 실물 기후동행카드 

 

 

따릉이 포함은 65,000원 , 지하철과 버스만 이용시는 62,000원 
청년은 7,000원 할인 혜택 (만 19 ~ 39세)

 

 

기후동행카드 사용국간 
지하철 서울지역 지하철, 김포골드라인 
버스 서울면서 시내 마을버스 (심야버스 포함)
기본 요금 1,500원 이하 대중교통에 한함 

 

 

다음은 후불 기후동행카드

적용기간이 매월 1일 ~ 말일까지다 
대중교통 월 부담한도가 
28일 29일 30일 31일 이렇게 일당 2,000원 차등적용 된다 
월 부담한도까지만 청구된다 

이렇게 기후동행카드를 알아봤고 그러면 내 생활패턴의 맞는 카드는 무엇인지 비교를 해보자 
K패스는 지역제한없이 15회이상 이용하면 무조건 20% 할인이다 (일 2회)
기후동행카드는 지역제한 있고 몇번을 타든 고정액이다 

내 생활패턴의 평균을 잡으면 1회 1,600원의 요금이 나온다 
K패스로 계산했을때는 20% 할인이니 1,280원이다 
기후동행카드가 62,000원 
총 48번(왕복 24회)을 타야 기후동행카드를 사용하는 것이 이득이다 
매일 왕복 1회를 한다고 해도 24일을 타야한다 
그리고 기후동행카드는 부천이나 인천, 파주쪽으로 나갈때는 사용할 수 없다 

기후동행카드를 사용하면 돈이 아까워서라도 더 많이 나가게 될려나 싶었는데 이거 오히려 마이너스가 될 것 같은 예상이다 
그냥 K패스를 계속 쓸까? 아니면 한달만 테스트를 해볼까? 

반응형

관련글 더보기

댓글 영역